맨위로가기

요한 엘레르트 보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한 엘레르트 보데는 독일의 천문학자로서, 1747년 함부르크에서 태어나 1826년 베를린에서 사망했다. 그는 천문학 대중화에 기여했으며, 1774년에는 천문 연감을 창간하여 51권의 연간 간행물을 편집했다. 1786년 베를린 천문대 대장이 되었으며, 1789년 왕립 학회 펠로우로 선출되었다.

보데는 티티우스-보데의 법칙을 소개하고, 천왕성 명명에 참여했으며, 1801년에는 천체 지도인 《우라노그라피아》를 출판했다. 그는 M81, M82, M53, M92, M64, M48과 같은 천체를 발견했으며, 소행성 998 보데아와 보데 혜성(C/1779 A1)의 이름에 그의 이름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47년 출생 - 레오폴트 2세 (신성 로마 황제)
    레오폴트 2세는 계몽주의 영향을 받아 토스카나 대공으로서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며, 이후 신성 로마 황제가 되어 제국 내 혼란을 수습하고 프랑스 혁명에 대한 신중한 외교 정책을 펼쳤다.
  • 1747년 출생 - 난부 노부요리
    난부 노부요리는 제5대 번주 난부 노부오키의 적남으로 가문을 계승하여 무예를 장려했으나 흉작과 기근으로 어려움을 겪고 장남에게 가독을 물려준 뒤 35세로 사망했다.
  • 18세기 천문학자 - 윌리엄 허셜
    독일 태생 영국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은 음악가에서 천문학자로 전향하여 직접 망원경을 제작, 천왕성 발견, 쌍성·심원 천체·적외선 발견, 태양계 운동·은하수 구조 연구 등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여동생 캐롤라인 허셜 또한 여성 천문학자로서 업적을 남겼다.
  • 18세기 천문학자 - 안데르스 셀시우스
    스웨덴의 천문학자, 물리학자, 지질학자인 안데르스 셀시우스는 웁살라 대학교 천문학 교수이자 웁살라 천문대 설립에 기여했으며, 오로라와 지구 자기장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지구 모양 측정에 참여했고, 섭씨 온도 눈금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그의 업적은 달의 셀시우스 크레이터와 소행성에 이름이 남아있다.
  • 19세기 천문학자 - 윌리엄 허셜
    독일 태생 영국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은 음악가에서 천문학자로 전향하여 직접 망원경을 제작, 천왕성 발견, 쌍성·심원 천체·적외선 발견, 태양계 운동·은하수 구조 연구 등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여동생 캐롤라인 허셜 또한 여성 천문학자로서 업적을 남겼다.
  • 19세기 천문학자 - 존 허셜
    영국의 천문학자, 수학자, 화학자이자 사진가인 존 허셜은 윌리엄 허셜의 아들로, 남반구 천체 관측, 항성 연구 기여, 율리우스일 사용 제안, 사진 용어 제안 및 청사진 발명 등 천문학과 사진술 발전에 공헌했다.
요한 엘레르트 보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요한 엘레르트 보데
출생1747년 1월 19일
출생지신성 로마 제국, 함부르크
사망1826년 11월 23일
사망지프로이센 왕국, 브란덴부르크 주, 베를린
국적독일
분야천문학
알려진 업적티티우스-보데의 법칙
학력
박사 지도교수요한 게오르크 뷔슈
박사 제자요한 파프

2. 생애와 경력

함부르크 출신의 천문학자로, 젊은 시절 시력 문제를 겪었으나 수학과 천문학에 재능을 보여 학자의 길을 걸었다.[1] 1768년 천문학 입문서 Anleitung zur Kenntniss des gestirnten Himmels|안라이퉁 추어 켄트니스 데스 게슈티른텐 히멜스deu를 출판하며 명성을 얻었고, 이를 계기로 베를린으로 초청받아 활동했다.[2]

베를린에서 그는 천문력 계산과 천문 연감 Astronomisches Jahrbuch|아스트로노미셰스 야르부흐deu 발간에 힘썼으며,[3] 1786년부터 1825년까지 베를린 천문대 대장을 역임했다.[3] 이 시기 주요 업적으로는 1801년 출판된 정교한 성도 Uranographia|우라노그라피아deu와 아마추어를 위한 Vorstellung der Gestirne|포어슈텔룽 데어 게슈티르네deu가 있다.

1772년판 ''Anleitung zur Kenntniss des gestirnten Himmels''의 표지


보데는 보데 은하(M81)의 발견자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이름을 딴 보데 혜성(C/1779 A1)과 소행성 998 보데아가 있다. 또한 요한 다니엘 티티우스가 발견한 행성 간 거리 법칙을 널리 알리는 데 기여하여 이 법칙은 흔히 티티우스-보데의 법칙으로 불린다. 이 법칙은 천왕성 발견에 대한 관심을 높였고, 보데는 법칙이 예측하는 위치에서 행성을 찾으려는 노력을 주도하기도 했다. 비록 세레스의 발견으로 이어졌지만, 이후 해왕성의 발견으로 법칙의 한계가 드러났다.

1781년 윌리엄 허셜천왕성 발견 이후, 보데는 과거 기록을 조사하여 천왕성의 정확한 궤도 계산에 기여했다. 그는 또한 새로 발견된 행성의 이름을 그리스 신화에 기반하여 '천왕성(Uranus)'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하여 국제적인 명칭으로 자리 잡게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4][5] 이 이름은 훗날 마틴 클라프로트가 발견한 원소 우라늄(Uranium) 명명의 유래가 되기도 했다.[6]

보데는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 왕립 학회,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 등 여러 학술 단체의 회원으로 활동했으며,[7] 1826년 베를린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요한 엘레르트 보데는 함부르크에서 태어났다. 젊은 시절, 그는 심각한 안구 질환을 앓았는데 특히 오른쪽 눈의 손상이 심각했으며, 이로 인해 평생 눈 문제로 고생했다.[1]

그의 수학적 재능은 요한 게오르크 뷔슈의 주목을 받았고, 보데는 뷔슈의 도움으로 그의 서재를 이용하며 공부할 수 있었다. 보데는 1766년 8월 5일의 일식에 대한 짧은 논문을 발표하며 학자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 이어서 그는 천문학 입문서인 Anleitung zur Kenntniss des gestirnten Himmels|안라이퉁 추어 켄트니스 데스 게슈티른텐 히멜스deu(1768년 초판, 1844년 10판)를 출판했다. 이 책이 성공을 거두면서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2]의 초청을 받아 1772년 베를린으로 가게 되었고, 그곳에서 개선된 방식에 따라 천문력을 계산하는 일을 맡았다. 베를린에서 그는 1774년 유명한 천문 연감인 Astronomisches Jahrbuch|아스트로노미셰스 야르부흐deu를 창간했으며, 이후 51년 동안 이 연감의 편집과 발행을 담당했다.[3]

2. 2. 베를린 천문대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2]의 초청으로 1772년 베를린으로 이주하여 베를린 아카데미의 천문대 계산가로서 개선된 계획에 따라 천문력을 계산하기 시작했다.[3] 1774년에는 람베르트와 함께 유명한 Astronomisches Jahrbuch|아스트로노미셰스 야르부흐de(베를린 천문 연감)을 창간했다.[3] 1777년 람베르트가 사망한 후에는 혼자서 발행을 이어갔으며, 총 51권의 연간 간행물을 편집하고 발행했다.[3]

1786년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고,[3] 이듬해인 1787년 베를린 천문대 대장으로 취임했다. 그는 1825년 요한 프란츠 엔케에게 자리를 인계할 때까지 천문대장직을 유지했다.[3] 또한 1787년부터 1825년까지 천문 계산 연구소(Astronomisches Rechen-Institut)의 국장을 겸임했다.

2. 3. 왕립 학회 및 기타 학회 활동

1786년에는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 되었다. 이듬해인 1787년부터 1825년까지는 천문 계산 연구소의 국장을 역임했다. 1789년 4월에는 왕립 학회의 회원(Fellow)으로 선출되었으며,[7] 1794년에는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이 되었다.

3. 주요 업적

요한 엘레르트 보데는 함부르크 출신으로, 젊은 시절 안구 질환에도 불구하고[1] 요한 게오르크 뷔슈의 지도를 받아 천문학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1766년 일식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고, 천문학 입문서 ''Anleitung zur Kenntniss des gestirnten Himmels''(별이 빛나는 하늘에 대한 지식 안내, 1768)를 출판하여 주목받았다. 이 책의 성공으로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에 의해 1772년 베를린으로 초청받아[2] 천문력 계산을 담당했으며, 1774년부터는 권위 있는 천문 연감 ''Astronomisches Jahrbuch''를 창간하여 51년간 발행했다.[3]

1786년부터 1825년까지 베를린 천문대 소장을 역임하며[3]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이 시기 주요 업적으로는 1801년 과학적 정확성과 예술성을 결합한 중요한 성도인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 출판이 있다. 또한 아마추어 천문가를 위한 작은 별 지도 ''Vorstellung der Gestirne''도 출판했다.

보데는 티티우스-보데의 법칙을 널리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 법칙은 천왕성 발견과 소행성 탐색에 영향을 주었다. 그는 직접 천체를 관측하여 M81(훗날 '보데 은하'로 명명)과 M82를 1774년에 발견하는 등 여러 천체 발견에 기여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보데 혜성(C/1779 A1)과 소행성 998 보데아도 있다.

윌리엄 허셜천왕성 발견 이후, 보데는 과거 기록 연구를 통해 천왕성의 정확한 궤도 계산에 기여했다. 또한 천왕성의 이름을 '우라누스'(Uranus|우라누스la)로 제안하여 국제적으로 통용되게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4][5], 이는 우라늄 명명에도 영향을 주었다.[6]

그는 1787년부터 1825년까지 천문 계산 연구소(Astronomisches Rechen-Institut) 소장을 지냈고, 1794년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 외국인 회원, 1789년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는 등[7]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3. 1. 티티우스-보데의 법칙 (보데의 법칙)

요한 다니엘 티티우스가 1766년에 처음 발견한 행성 간 거리의 규칙성은[1], 요한 엘레르트 보데가 1772년 샤를 보네의 저서 『자연의 사상』 제2판의 티티우스 번역 주석을 통해 알게 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보데는 자신의 저서 ''Anleitung zur Kenntniss des gestirnten Himmels'' (별하늘 지식 입문) 제2판(1772년)의 각주에 이 내용을 소개했다.[3] 보데가 티티우스를 최초 발견자로 명시하지 않았고, 여러 저술과 강연을 통해 적극적으로 이 법칙을 알렸기 때문에[2] 오랫동안 '보데의 법칙'으로 불렸으나, 오늘날에는 발견자의 공로를 인정하여 티티우스-보데의 법칙으로 명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법칙은 태양으로부터 각 행성까지의 거리가 일정한 수학적 규칙을 따른다고 설명하려는 시도였다. 1781년 윌리엄 허셜천왕성을 발견했을 때, 그 위치가 티티우스-보데의 법칙이 예측한 거리와 거의 일치하면서 법칙에 대한 과학계의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3]

법칙은 또한 화성목성 사이의 빈 공간에도 행성이 존재해야 한다고 예측했다. 보데는 이 미지의 행성을 찾기 위한 국제적인 공동 탐사 프로젝트를 제안했고, 이는 "천문 경찰"이라는 별칭을 가진 그룹의 결성으로 이어졌다.[3] 그러나 이들이 본격적인 탐색을 시작하기도 전인 1801년 1월 1일,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주세페 피아치가 팔레르모 천문대에서 법칙이 예측한 바로 그 위치에서 새로운 천체 세레스를 발견했다.[3]

처음에는 세레스가 법칙이 예측한 행성으로 여겨졌지만, 이후 세레스가 소행성대에 존재하는 수많은 소행성 중 가장 큰 천체일 뿐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결정적으로 1846년 해왕성이 발견되었을 때, 그 궤도는 티티우스-보데의 법칙에서 크게 벗어나 있었다.[3] 이로 인해 법칙은 경험적인 규칙 이상의 의미를 갖기 어렵다는 비판에 직면하며 점차 과학적 지지를 잃게 되었다. 하지만 이후 외계 행성계가 다수 발견되면서, 행성계 형성 과정의 특정 경향성을 설명하려는 시도 속에서 티티우스-보데의 법칙과 유사한 규칙성에 대한 논의가 다시 이루어지기도 한다.[3]

3. 2. 천체 관측 및 발견

요한 엘레르트 보데는 천체 관측자로서 여러 천체를 발견하거나 독립적으로 발견했다. 그의 주요 발견 및 관측 기여는 다음과 같다.

발견 일자천체종류비고
1774년 12월 31일M81 (보데 은하)은하M82와 함께 발견. 보데는 "큰곰자리의 머리, 귀에 위치하는 d성의 바로 동쪽에, 두 개의 작은 성운 모양의 반점이 0.75도 정도 떨어져 위치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고 기록했다. M81은 후에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1774년 12월 31일M82은하M81과 함께 발견.
1775년 2월 3일M53구상 성단
1777년 12월 31일M92구상 성단
1779년 4월 5일M64나선 은하에드워드 피고트보다 12일 늦게 독립적으로 발견했다. (2002년 피고트의 업적이 확인되기 전까지 보데가 최초 발견자로 알려졌다.)
1782년 이전M48산개 성단독립적으로 발견했다.
-보데 혜성 (C/1779 A1)혜성보데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궤도는 에리크 프로스페린이 계산했다.



또한, 1781년 윌리엄 허셜천왕성을 발견한 후, 보데는 과거의 성도들을 연구하여 천왕성이 이전에 별(존 플램스티드의 목록에서는 '34 Tauri')로 잘못 기록되었던 여러 사례를 찾아냈다. 이러한 과거 관측 기록 확인은 천왕성의 정확한 궤도를 계산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3. 3. 천왕성 명명

1781년 윌리엄 허셜이 발견한 새로운 행성, 즉 천왕성의 발견과 관련된 연구에 보데는 직접 참여하였다. 천왕성은 망원경으로 발견된 최초의 행성이었지만, 맨눈으로도 관측이 가능한 천체였다. 보데는 오래된 성도들을 조사하여 이 새로운 행성이 발견 이전에도 여러 차례 관측되었으나 항성으로 잘못 기록되었던 사례들을 찾아냈다. 예를 들어, 영국의 왕실 천문가였던 존 플램스티드1690년 자신의 성표에 천왕성을 '황소자리 34번 별'(34 Tauri)로 기록하기도 했다. 이러한 과거의 관측 기록들은 천왕성의 정확한 궤도를 계산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보데는 이 새로운 행성의 이름을 정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발견자인 허셜은 당시 영국의 국왕이었던 조지 3세를 기리기 위해 '게오르기움 시두스'(Georgium Sidus|게오르기움 시두스la, '조지의 별')라는 이름을 제안했다. 하지만 이 이름은 군주 개인을 기리는 명칭이었기에 영국 외 다른 나라에서는 받아들여지기 어려웠다.[4][5] 이에 보데는 로마 신화에서 토성(사투르누스)이 목성(유피테르)의 아버지이듯, 새로운 행성 역시 토성의 아버지이자 그리스 신화의 하늘의 신인 우라노스의 이름을 따 '우라누스'(Uranus|우라누스la)라고 명명할 것을 제안했다. 이는 기존 행성들의 명명 규칙과 신화적 체계를 따르는 합리적인 제안이었다.[4][5]

여러 다른 이름들이 제안되기도 했으나, 결국 보데가 제안한 '우라누스'가 가장 널리 받아들여졌다. 국제적인 공감대를 얻은 이 이름은 점차 보편적으로 사용되었고, 마침내 1850년 영국 해군성의 항해력 편찬국(HM Nautical Almanac Office)에서도 기존에 사용하던 '게오르기움 시두스' 대신 '우라누스'를 공식 명칭으로 채택하기에 이르렀다. 이는 특정 국가나 인물을 넘어선 보편적이고 과학적인 명명법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과정이었다.

보데의 이러한 명명 제안은 다른 과학 분야에도 영향을 미쳤다. 1789년, 보데와 함께 왕립 학회 회원이기도 했던 화학자 마틴 클라프로트는 자신이 새로 발견한 원소에 이름을 붙일 때, 보데가 제안한 행성 이름 '우라누스'에서 영감을 받아 '우라늄'(Uranium|우라늄la)이라고 명명했다.[6] 이는 과학적 발견과 명명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지식 체계를 확장해나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3. 4. 《우라노그라피아》

1801년, 보데는 성도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를 출판했다. 이 성도는 항성 등 천문 물체의 위치에 대한 과학적 정확성과 별자리 그림의 예술적 해석을 모두 추구한 점이 특징이다. 《우라노그라피아》는 별자리의 예술적 표현에서 정점을 이룬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이후 제작된 성도들은 점차 그림 표현에 힘을 쏟지 않게 되었고, 결국에는 그림이 사라지게 되었다.

별자리 그림 《우라노그라피아》의 한 페이지. 중앙은 안드로메다자리.


《우라노그라피아》에는 100개에 달하는 별자리가 그려져 있다. 보데는 이 성도에서 측정삭자리, 전기기계자리, 인쇄실자리, 프리드리히의 영예자리라는 4개의 새로운 별자리를 직접 만들어 포함시켰으나, 현재 이 별자리들은 공식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4. 저서

요한 엘레르트 보데는 여러 중요한 천문학 저서를 남겼으며, 그의 저술 활동은 독일 전역에 천문학에 대한 관심을 확산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3] 그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출판 연도제목내용 요약
1768Anleitung zur Kenntniss des gestirnten Himmels천문학 기본서로, 보데의 가장 유명한 저서 중 하나이다. 이 책의 성공은 그가 베를린으로 초청받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책의 각주에서 티티우스-보데 법칙을 처음으로 언급하여 널리 알렸다. 1844년까지 10판이 발행될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1774–1957Berliner Astronomisches Jahrbuch베를린 천문대에서 발행한 천문 연감. 보데는 1776년판부터 시작하여 51년 동안 이 연감의 편집과 발행을 책임졌다.[3]
1776Sammlung astronomischer Tafeln천문 관측과 계산에 필요한 표들을 모은 자료집 (총 3권).
1776Erläuterung der Sternkunde별자리와 관련된 신화 및 이야기에 대한 입문서. 10번 이상 재판될 정도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1782Vorstellung der Gestirne ... des Flamsteadschen Himmelsatlas플램스티드의 작은 별 지도를 포르탱의 판본을 기반으로 수정하고 내용을 확대한 것이다. 이와 함께 출판된 별 목록 Verzeichniss에는 플램스티드, 헤벨리우스, T. 마이어, 드 라카유, 메시에, 르 모니에, 다르키에, 그리고 보데 자신이 관측한 5,058개의 별 위치 정보가 담겨 있다.
1801Uranographia sive Astrorum Descriptio20개의 구리판 삽화로 구성된 대형 별 지도. 이 지도는 천문 물체의 정확한 위치를 표시하는 과학적 목적과 함께, 별자리를 예술적으로 표현하는 데에도 중점을 두었다. Uranographia는 별자리 예술 표현의 정점으로 평가받으며, 이후 제작된 별 지도들은 점차 그림 표현을 줄여나가는 경향을 보였다. 이 지도와 함께 출판된 별 목록 Allgemeine Beschreibung und Nachweisung der Gestirne에는 17,240개의 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1808Allgemeine Betrachtungen über das Weltgebäude우주의 구조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을 담은 저서이다.



보데는 또한 천문학 애호가들을 위해 작은 별 지도인 ''Vorstellung der Gestirne''를 출판하기도 했다. 그의 저술 활동은 전문 천문학자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도 천문학 지식을 보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5. 평가와 영향

요한 엘레르트 보데는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반 독일 천문학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저서 ''Anleitung zur Kenntniss des gestirnten Himmels'' (1768)는 천문학 입문서로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여러 차례 개정판이 나올 정도로 영향력이 컸다.[1] 이 책을 통해 그는 요한 다니엘 티티우스가 발견한 행성 간 거리 규칙을 소개했고, 이는 후에 티티우스-보데의 법칙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비록 이 법칙이 해왕성의 위치를 예측하는 데는 실패했지만, 천왕성의 발견과 화성, 목성 사이의 소행성 탐색(특히 세레스 발견)에 중요한 동기를 부여하며 당시 천문학 연구에 활력을 불어넣었다.[3]

베를린 천문대 국장(1786-1825)으로서 그는 천문 관측과 연구를 이끌었으며, 51년 동안 ''Astronomisches Jahrbuch'' (천문 연감)을 편집하고 발행하며 천문학자들에게 필수적인 자료를 제공했다.[3]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Uranographia'' (1801)는 과학적 정확성과 예술적 표현을 결합한 천체 지도로, 당시 별자리 지도의 정점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이는 이후 천체 지도 제작의 흐름에도 영향을 미쳤다.

보데는 천왕성 발견 이후, 과거 기록들을 조사하여 이 행성이 발견 이전에 이미 여러 차례 관측되었으나 별로 오인되었음을 밝혀냈다. 특히 존 플램스티드가 1690년에 '황소자리 34번 별'(34 Tauri)로 기록한 것이 천왕성임을 확인하는 등, 이러한 과거 관측 자료는 천왕성의 궤도를 정확히 계산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그는 발견자 윌리엄 허셜이 제안한 이름 대신 '천왕성(Uranus)'이라는 이름을 제안하여 국제적으로 통용되게 하는 데 기여했다.[4][5] 이 이름은 훗날 마틴 클라프로트가 새로 발견한 원소에 '우라늄'이라는 이름을 붙이는 데 영감을 주었다.[6]

그의 천문학적 업적을 기려 보데 은하(M81), 보데 혜성(C/1779 A1), 소행성 998 보데아 등이 그의 이름으로 명명되었다. 또한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와 왕립 학회의 회원으로 선출되는 등[7] 국제적으로도 인정받는 천문학자였다. 그의 활동은 천문학 지식의 체계화와 보급, 새로운 천체 탐색 촉진 등 다방면에 걸쳐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웹사이트 Johann Elert Bode (19 January 1747 – 23 November 1826) http://www.maa.clell[...] 2008-05-20
[2] 서적 The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stronomers http://www.springerr[...] Springer Nature 2012-08-22
[3] 문서 Bode, Johann Elert
[4] 서적 Planets Beyond: Discovering the Outer Solar System https://archive.org/[...] Courier Dover Publications 2004
[5] 웹사이트 Astronomy in Berlin http://bdaugherty.tr[...] Brian Daugherty 2007-05-24
[6] 웹사이트 The Straight Scoop on Uranium http://www.allchemic[...] allchemicals.info: The online chemical resource 2009-03-30
[7] 웹사이트 Library and Archive Catalogue http://www2.royalsoc[...] Royal Society 2010-12-17
[8] 웹사이트 367日誕生日大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